close
아이누리TV
1072

땀 많은 아이, 가을 오기 전 기력 보강해야

본문

 

b0d22d5a9a44117f53839bf629c40344_1605488

좋은 영양식에 충분한 수면, 적절한 신체활동이 중요해

 

여름 한철을 보내고 나면 어른도 아이도 지치게 마련이다. 무더위로 땀을 많이 흘리기도 했지만, 코로나19의 유행으로 신체활동이 줄어들다 보니 기혈순환, 신진대사 등도 순조롭지 않다. 입맛도 잃고 기력도 바닥난 상황. 건강한 가을맞이를 위해 무엇부터 해야 할까.

 

 

◇ 땀 많은 아이, 기운도 입맛도 잃었다면

 

더울 때 땀을 흘리는 것은 매우 당연한 일다. 땀은 몸 속 노폐물 배출을 돕고 우리 몸이 정상 체온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자연스러운 생리 현상이다. 그리고 아이가 땀을 많이 흘린다고 해서 무조건 허약한 것도 아니다.

 

아이들은 어른에 비해 기초 체온이 높고, 땀구멍도 잘 열리며, 신진대사가 활발하기 때문에 같은 온도에서 어른보다 땀을 더 많이 흘린다. 한창 성장하는 중이라 신진대사가 활발한 것에 비해 체온조절 능력은 미숙한데, 땀을 통해 체온을 조절하고 열을 발산하는 것이므로 적당한 땀은 건강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라면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  

 

아이누리한의원 고재경 원장은 “아이가 또래에 비해 필요 이상으로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 신체 특정 부위에서 땀이 많이 나는 경우, 땀을 흘린 후 기운이 없고 식욕이 떨어지는 경우, 이런 상태가 오래 지속되어 기력 저하 및 잔병치레가 있는 경우라면 아이 체질이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점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 더위 많이 타는 아이, 병치레 잦아져

 

특히 여름은 사계절 중에서도 건강을 유지하기 힘든 계절이다. 한의학에서는 신체 전반의 리듬이 깨져 몸속 진액이 밖으로 흐르는 것을 ‘다한(多汗)’으로 보는데, 아이들은 속열이 많기 때문에 더위가 심할수록 증상 역시 심해지게 마련이다.

 

“유난히 더위를 많이 타는 아이가 있다. 여름이면 입맛도 없고, 땀도 많이 흘리고, 거의 맥을 못 춘다. 그러다 보니 더위를 피해 시원한 곳에만 있으려 하고, 찬물, 아이스크림, 주스, 청량음료 같은 찬 것, 단 것만 찾는다. 밖에 나가 움직일 생각을 안 한다. 결국 이런 생활습관이 아이를 더 지치게 하고 면역력도 저하시킨다“고 고재경 원장은 지적한다.

 

이런 상태가 여름내내 지속되면 기가 허하고 활력이 부족하게 된다. 밥도 잘 안 먹기 때문에 키나 몸무게가 늘지 않고, 냉방증후군, 여름 감기, 배탈 설사 등 병치레도 잦아진다. 서늘한 가을이 오기 전 무엇보다 기력 보강이 필요하다.   

 

 

◇ 가을 오기 전 기력 보강하는 몇 가지 방법

 

기력 보강을 위한 첫 번째 방법은 보양식으로 원기 회복을 돕는 것이다. 입맛을 잃었기 때문에 소화가 잘 되고 부드러운 고단백 음식이 알맞다. ‘황기’는 여름철 과도하게 땀이 나는 것을 막고 원기를 북돋우는 데 좋은 약재다. 삼계탕에 인삼 대신 황기를 넣어 끓여도 최고의 보양식이 된다.

 

속을 따뜻하게 하면서 입맛을 돋우는 카레, 콩국수, 두부요리 등도 여름철 아이들 보양식으로 제격이다. 과도한 땀으로 손실된 체내 수분도 보충해준다. 찬물 대신 미온 또는 상온의 물을 다른 계절보다 300~500ml 더 섭취하게 한다. 제철 과일은 수분 보충과 함께 각종 필수 영양소 섭취를 돕는 보양식이다.

 

고재경 원장은 “수분 섭취할 때 주의해야 할 것은 ‘단맛의 찬 음료’이다. 단 음식은 우리 면역 체계에 혼란을 가져와 면역력을 떨어뜨린다. 찬 음식은 아이 속을 차갑게 해 기혈순환을 방해하고 비위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말한다. 당분이 많은 청량음료, 주스, 빙과류 등은 최대한 덜 먹인다. 음식은 따뜻하게 데우고, 물이나 과일은 상온에 두었다가 냉기가 가시면 먹이도록 한다.

 

좋은 영양식에 충분한 수면, 적절한 신체활동이 따라준다면 아이의 기력도 조금씩 회복될 수 있다. 만약 이것으로 힘들다면 그때는 아이 체질과 건강 상태에 맞는 보약도 고려해본다.

 

 

도움말: 아이누리한의원 송도점 고재경​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