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아이누리TV
1153

밥 안 먹는 아이, 억지로 먹여야 할까

본문

[건강정보] 안 먹어도 너무 안 먹는 아이 때문에 걱정 많나요?

 

어쩌다 한 끼를 안 먹거나 덜 먹는 건 그럴 수 있다. 매끼 먹는 양이 적고, 매번 먹는 둥 마는 둥 하고, 식사 때마다 입에 물고만 있는 아이를 보면 부모 속은 타들어 간다. 매일 식탁 앞에서 치르는 전쟁. 왜 우리 아이는 안 먹는 것일까? 식욕부진에 이유가 따로 있는 것일까? 이대로 놔두어도 괜찮을까?

 

 

5ad8cc0393bb99080ff1636fefcb65df_1641172 

도움말=아이누리한의원 강문여 원장 ⓒ아이누리한의원

 

 

◇ 비위(소화기) 허약아, 식욕부진이 오는 이유

“원래부터 먹는 양이 적었어요” “쫓아다니며 먹이느라 밥 먹는 데에만 1시간이 걸려요” 식욕부진 때문에 고민하는 부모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상황이 다양하다. 그리고 이런 상황만큼이나 아이들이 안 먹는 혹은 못 먹는 이유 역시 각양각색이다. 

 

우선 타고나길 뱃구레가 작은 아이가 있다. 이런 아이는 한 번에 먹는 양이 적고 조금만 먹어도 배가 부르다고 한다. 아이가 제 양껏 골고루 먹고 자신의 성장 속도에 맞춰 키와 체중을 늘려가고 있다면 크게 문제 될 것은 없다. 고른 영양 섭취에 신경 쓰고 조금씩 자주 먹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다. 

 

반면 선천적으로 비위 즉 소화기가 허약한 아이들도 있다. 아이누리한의원 강문여 원장은 “비위 허약아들은 평소보다 조금 많이 먹거나 자기 입맛에 맞지 않은 것, 지나치게 맵거나 자극적인 것, 찬 것 등을 먹으면 속이 불편해진다.

 

먹다가 화장실에 가는 일도 있고, 배가 답답하다, 아프다고 칭얼대는 일이 많다. 헛구역질, 식체, 배탈, 설사, 장염 등 소화기 관련 질환이 잦은 편이다. 문제는 잘 먹더라도 소화기 질환이 잦은 편이라 영양의 소화와 흡수가 원만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잘못된 식습관도 식욕부진을 불러온다

대체적으로 어린아이의 식욕부진은 유아식 무렵에 두드러진다. 비교적 유동식에 무른 음식을 섭취할 때는 괜찮다가 다양한 식재료의 고형식을 먹게 되면서 아이가 이것저것 거부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 시기에 형성된 식욕부진은 잘못된 식습관, 정서적인 문제와도 연관돼 있어 상당히 오래 지속될 수 있다. 

 

강문여 원장은 “식욕부진 유형 중에 아이가 씹지 않고 물고만 있는 경우, 식사때마다 돌아다니며 먹는 경우, 질긴 채소와 같은 특정 음식을 거부하는 경우, 우유나 두유, 치즈, 단맛 간식 등으로 끼니를 대신하는 경우 등이 있다. 고형식으로 접어드는 단계에서 잘못된 식습관이 형성되면 바람직한 식사 형태를 유지하기 곤란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유식은 아이가 적응하는 과정을 보면서 단계에 맞춰 안전한 식재료와 무르기로 진행하고, 첫돌 이후가 되면 우유, 두유 등 액상 식품은 하루 500ml로 제한한다. 특히 열량이 높아 끼니를 대체하게 되는 요구르트, 치즈, 초콜릿, 캐러멜, 스낵류 등은 간식으로 자주 주지 않는다. 아이 입맛이 너무 단맛에 익숙해지지 않도록 조심하고 식사는 정해진 시간, 정해진 장소에서 하도록 한다. 

 

◇ 식욕부진이 장기화되면 성장부진도 따라온다

‘때 되면 먹겠지’ 하는 생각에 식욕부진인 아이를 그냥 놔두었다간 식욕부진이 장기화되고 또다른 부작용을 불러올 수 있다. 한창 자라나는 아이에게는 키, 체중, 두뇌 등 바람직한 성장발달에 필요한 고른 영양 섭취가 필수다. 자칫 영양의 섭취, 소화, 흡수에 어떤 장애가 생길 수 있고, 각종 대사질환이나 성장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 아토피피부염인 아이에게 무조건적인 식이제한보다 성장발달을 고려한 적절한 식이 적응 과정이 필요한 것도 마찬가지.

 

강문여 원장은 “성장부진인 아이 상당수는 식욕부진을 겪는 일이 많다. 아이가 잘 먹어야 잘 자라는 것은 당연한 이치다. 특히 1차 성장급진기인 영유아 시기에는 적정한 체중이 아이 키 성장의 바탕이 된다. 아이가 식욕부진을 겪고 있다면 그 원인을 찾아 적극적으로 해결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비위가 허약한 아이라면 소화기 기능을 개선하는 치료가 필요하다. 일단 음식을 잘 먹기 위해서는 소화기의 기능이 원활해야 한다. 잘 먹어도 영양의 흡수나 소화가 어렵다면 이것이 신체 전반의 기운, 성장 에너지로 전환되기 힘들다. 아이 속부터 편안하게 하면서 사라진 입맛을 되찾아야 한다. 잘못된 식습관은 점진적으로 개선해가면서 당장 부족한 영양은 보조적 수단을 병행해 보충하는 것도 고려한다. 

 

 

출처 : 베이비뉴스(https://www.ibabynews.com)